"부산일보 기고" 가덕신공항과 해양자치권의 두 날개로 비상하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kcomp
작성일2020-08-06
조회수5,272
본문
부산은 1963년 직할시로 승격된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왔다. 1980년대 후반에는 인구가 400만 명까지 늘어났고, 90년대에는 서울과 견줄 수 있는 제2 도시로 우뚝 섰다.
부산의 위상은 1995년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일대 전환기를 맞았다. 지방의 대도시들도 광역시로 승격되면서 부산은 지방의 여러 광역시 중 하나로 전락했다. 그러는 사이 주력 산업의 경쟁력 저하와 역외 이전, 인구 감소, 급격한 노령화가 진행되면서 부산은 시간이 갈수록 활력을 잃고 있다.
물론 부산도 2001년 5월 부산전시컨벤션센터(BEXCO)의 준공으로 마이스(MICE) 산업 인프라를 키우고, 부산국제영화제를 개최하며 영화 도시로의 도약을 꿈꿨다. 국제금융도시 지정 후 문현금융단지를 만들어 금융 관련 공기업 몇 개를 유치하기도 했다.
이런 노력에도 결과는 썩 만족스럽지 못하다. 인구 감소와 노령화, 특히 젊은 층의 급격한 역외 유출은 부산의 미래까지 어둡게 하고 있다.
부산이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한때 평범한 항구 도시에 불과했던 부산을 이만큼 키울 수 있게 만든 부산만의 장점을 극대화해야 한다.
20세기 후반 부산의 성장을 이끈 두 가지 큰 인프라가 바탕이 되었다. 하나는 1976년 10월에 확대 이전한 김해국제공항이 있었으며 또 하나는 1978년 9월 확대 개장한 부산 북항이다.
해양 세력과 대륙 세력을 연결하는 인프라를 건설해 국가 성장의 전략 도시로 도약한 것이다. 그 결과 부산은 2002년 9월 제14회 부산아시아경기대회, 2005년 11월 아시아태평양정상회의(APEC), 2014년 12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유치해 글로벌 도시 이미지를 만들기도 했다. 또 부산 북항에서 신항으로 항만기능을 대폭 확대 발전시켜 부산항이 세계 2위의 환적항만, 세계 5-6위의 컨테이너 처리 항만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거기까지가 한계였다.
부산 발전의 희망은 크게 두 가지이다.
부산을 키웠던 공항과 해양 인프라의 기능을 한 단계 더 높이는 데서 나아가 극대화하는 것이다. 가덕도 신공항 건설과 해양자치권 확보는 이 일을 가능하게 하는 열쇠다.
가덕도 신공항 건설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두말할 필요가 없다. 24시간 비행이 가능한 국제공항 없이는 부산의 발전은 한계에 부닥칠 수밖에 없다.
가덕도 신공항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확정되지 못하고 논의만 하면서 허송세월하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가덕신공항 건설을 위해 시민적 역량을 결집하고 정부도 화답해 결단을 내려야 할 시점이다.
부산이 비상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날개는 해양자치권 확보이다. 부산은 그동안 해양특별시 등 여러 해양 관련 캐치프레이즈를 외쳐왔으나 구호에 불과했다는 비판이 많다.
이는 무엇보다 부산이 해양관할권을 갖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이유다. 예로서 해상버스 등을 구상하여 실행하려고 해도 정부의 승인 하에서만 가능하다. 해양에 대한 자치권이 없으니 부산이 천혜의 바다를 가지고 있다 한들 주인 노릇을 할 수 없다.
부산에는 해양 관련 대학들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같은 국책연구소들이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부산 스스로 해양을 발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이 갖추고 있기에 자치권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부산은 이제 국내의 타 광역시들과 육상 경쟁을 할 시점이 아니다. 해양자치권 확보를 통해 싱가포르나 로테르담과 같은 글로벌 해양 도시들과 경쟁하는 국제적인 도시를 지향해야 한다.
부산이 24시간 운항이 가능한 가덕신공항 건설과 함께 해양자치권까지 확보한다면 막대한 시너지를 만들 수 있다. 하늘길과 바닷길의 물류 융합을 통해 세계적인 허브 도시로 비상할 수 있다. 부산이 이 두 가지 달성을 위해 모든 역량을 쏟아야 하는 이유다.
[출처: 부산일보] 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80518555172147
댓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